본문 바로가기

일상 아이템 리뷰

미세플라스틱 문제, 생각보다 심각합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던 중, 우연히 다음과 같은 기사를 접하게 됐다.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artid=202111111438011&code=14 

 

미세 플라스틱, 하루 최대 7천개 먹고 있다

피할 수 없는 생활 속 미세 플라스틱 노출,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미세 플라스틱 노출을 피할 수 없는 시대다. 영국 포츠머스 대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lady.khan.co.kr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최대 7천개 씩이나 먹고있다니..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게다가,

 

 

매번 사먹는 생수

 

평소에 생수를 사먹는 나에게는 위 기사가 더욱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캐나다의 한 연구진이 진행한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에 따르면,

생수에는 수돗물보다 약 22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한다.

 

나름대로 재활용이 잘 된다고 알려진 라벨이 없는 투명한 생수병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문제는 그것이 아니었다.

 

아무리 재활용이 잘 되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고 한들 플라스틱은 영원한 플라스틱이며,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내가 고스란히 다시 섭취하게 된다.

 

 

더 심각한 사실은,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단순히 재활용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https://www.khan.co.kr/science/science-general/article/202110271219001

 

미세플라스틱, 뇌에 쌓여 신경독성물질 된다

국내 연구진이 미세 플라스틱이 뇌에 쌓여 신경독성물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 실험을 통...

www.khan.co.kr

 

위 기사를 살펴보면,

 

미세플라스틱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그 미세플라스틱이 뇌에 조금씩 쌓여 신경독성물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떻게 이럴 수가 있을까?

 

그것은 바로 미세플라스틱의 특성 때문이다.

 

 

미세플라스틱이란,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한다.

 

우선 미세플라스틱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세플라스틱이란,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한다."

 

 

이렇게 보면, 생각보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크다고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5mm보다 훨씬 더 작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주변 곳곳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 미세플라스틱은 우리의 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가져다 주는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위에서 잠깐 살펴본 '미세플라스틱, 뇌에 쌓여 신경독성물질이 된다' 기사를 보면,

 

2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실험쥐에게 1주일 동안 투여한 결과,

이 미세플라스틱이 쥐의 혈액-뇌 장벽을 뚫고 들어와서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세포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나온다.

1마이크로미터 = 1mm의 1000분의 1 크기
(사람 머리카락의 굵기가 약 100마이크로미터라고 합니다.)

 

물론 아직까지 이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실험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명백한 생명체인 쥐에게 이 미세플라스틱이 악영향을 미친다면 결코 사람도 예외가 될 수 없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510140&plink=ORI&cooper=NAVER 

 

'미세플라스틱 검출' 고기 핏물 흡수패드 없앤다

포장 판매하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표면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소식, 지난주에 전해드렸습니다. 핏물 흡수용 패드에 들어 있는 고 흡수성 수지, 미세플라스틱 때문인데 보도 이

news.sbs.co.kr

 

당장 우리의 밥상에도 미세플라스틱이 함께 올라오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핏물 흡수용 패드(SAP)이다.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핏물 흡수용 패드

 

남의 얘기인줄만 알았던 미세플라스틱이 이렇게 우리의 식탁으로 찾아오다니..

 

참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이 기사가 나간 뒤로 대형마트에서는 핏물 흡수용 패드(SAP) 대신 친환경 종이 재질의 핏물 흡수용지를 사용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핏물 흡수용 패드는 미세플라스틱 문제의 한 예시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점점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번 핏물 흡수용 패드 사례와 같이 선제적으로 미세플라스틱 검사를 진행하고 유해성을 진단해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생각에서 멈추면 안되고 실행을 해야한다.

 

그래서 나는 용인시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업의 마케터로 활동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와 같은 미세플라스틱 검출 검사(미세플라스틱 시험)를 진행하는 기업에 방문해서 세부적인 사항을 직접 전해듣기로 했다.

 

 

국내 시험인증 및 글로벌 인증 지원 전문 기업 시티케이

 

생각보다 규모가 컸고, 미세플라스틱 시험뿐만 아니라 식품 및 축산물 분석, 잔류농약 및 항생물질 분석 등 다양한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티비에서만 봤던 실험실(?)이 내 눈에 들어왔다.

 

문과생인 나는 이 광경이 그저 신기하기만 했다.

 

 

미생물실험실에서 진행되는 미생물 배양 검사

 

미생물실험실에서는 미생물과 관련된 검사가 진행중이었다.

 

이 역시 식중독 관련 뉴스가 티비에서 나올 때만 볼 수 있었던 광경인데..

 

직접 눈으로 보니 반갑기도 하면서 이러한 믿을만한 검사가 실제로 진행되어야 우리 식탁에 안전한 먹거리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견학을 했던 미세플라스틱 실험실

 

마지막으로는 이번 포스팅의 핵심 주제인 미세플라스틱을 검사할 수 있는 실험실을 견학했다.

 

미세플라스틱 검사는 FT-IR Microscope 라는 장비로 진행된다고 하는데,

 

내가 방문한 이 씨티케이라는 기업의 모든 검사는 위와 같은 3년 이내의 최신식 장비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미세플라스틱 검사(실험) 과정은 아래와 같다.

 

 

미세플라스틱 실험 과정

 

이 검사 과정은 모두 20년 이상 쌓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또한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기관이라 타 기관에 비해서 검사세팅 및 검사과정이 빠른 것 역시 이 기관의 장점이라고 한다.

 

 

미세플라스틱 및 생분해도 분석서비스 정보

 

위에서 언급한 미세플라스틱 검사 서비스뿐만 아니라 생분해도 분석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물론 아직 생분해성 플라스틱(썩는 플라스틱)이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썩는 플라스틱도 빨리 상용화가 되어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아얘 발생하지 않게 되었으면 한다.

 


 

 

지금까지 미세플라스틱 문제와 이를 검사할 수 있는 기업에 견학을 다녀온 후기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해봤다.

 

내가 평소에 아무렇지 않게 쓰던 플라스틱으로 인해 나 뿐만 아니라 어느 누군가도 미세플라스틱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http://e-ctk.com/

 

(주)씨티케이

Hazardous Substance Analysis 환경오염문제를 일으키는 유해물질 분석 및 식품, 잔류 농약 등 각종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식품,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 자가품질검사, 영양성분표시 검사,H

e-ctk.com

 

 

 

미세플라스틱 검사와 같은 분석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험서비스 및 인증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위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관련된 내용들을 쭉 둘러보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공식적으로 지정된 공인시험소 씨티케이

 

공식적으로 지정된 공인시험소이기 때문에 신뢰가 가는 곳이다.

 

그럼 이쯤에서 미세플라스틱 문제 관련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